최근 입주자대표회의에서 엘리베이터 에어컨 설치가 부결되었는데요, 아직도 일부에서는 아쉬운 목소리가 나오고 있어요. 그래서 왜 설치하지 않는 게 더 나은지 다시 정리해 드릴게요.
먼저, 전기료와 유지비 부담이 크다는 점입니다. 에어컨을 설치하면 여름철 몇 달만 사용해도 수백만 원의 전기료가 추가되고, 정기 점검이나 부품 교체 비용도 계속 들어가죠. 장기적으로 보면 비용이 꽤 커질 수밖에 없어요.
둘째, 혜택이 일부 층에만 집중된다는 점입니다. 중·고층 거주자는 냉방 혜택을 체감하는 반면, 저층은 거의 체감하지 못하는데 비용은 같게 부담해야 하니 형평성 문제가 생깁니다. 고층만 부담하자는 의견도 있지만, 그러면 부담이 더 커져 또 다른 불만이 생기겠죠.
셋째, 구조적 문제도 고려해야 합니다. 엘리베이터는 대부분 멈춰 있는데, 에어컨은 계속 전기를 써야 하니 낭비가 될 수밖에 없어요. 센서나 타이머로 제어한다 해도, 관리비 부담은 결국 입주민들이 떠안게 됩니다.
또한, 화장실 이용 시간과 비교했을 때, 하루 화장실 이용 시간이 엘리베이터 이용 시간보다 훨씬 길다는 점도 고려해야 합니다. 엘리베이터만 냉방하는 건 생활 시간 대비 혜택이 불균형적이죠. 만약 냉방을 설치한다면, 화장실에도 동일한 냉방 장치를 설치하는 게 공정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예상치 못한 문제도 있는데요, 바로 엘리베이터 내부 천장이 낮아진다는 점입니다. 설치 후에는 냉장고, 옷장 같은 대형 가구가 들어가지 못하거나, 계단으로 옮겨야 하는 불편이 생길 수 있어요.
요약하자면, 엘리베이터 냉방은 편리해 보이지만, 비용 부담, 형평성 문제, 구조적 한계, 그리고 생활에 미치는 영향 등을 고려하면 신중한 판단이 필요합니다. 이번 부결 결정이 합리적이라고 생각하며, 장기적으로 보면 비용 대비 편익이 크지 않기 때문에 모두의 생활 편익을 위해서도 적절한 결정이었다고 봅니다.


엘리베이터 에어컨 설치는 비용과 형평성, 구조적 문제를 고려할 때 신중한 판단이 필요합니다. 설치 시 발생하는 비용 부담과 일부 층에만 혜택이 집중되는 점, 그리고 천장 낮아짐으로 인한 가구 이동 불편 등을 고려하면, 부결 결정이 합리적입니다. 장기적으로 보면 비용 대비 편익이 크지 않기 때문에, 모두의 생활을 위해 현명한 선택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