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사직성모안과에서 알려드릴게요.

망막앞막은 시야를 흐리게 하고 물체가 휘어 보이게 하는 대표적인 안질환입니다.

초기에는 증상이 거의 없거나 서서히 진행되어 방치하기 쉽지만, 방치하면 일상생활에 큰 불편을 줄 수 있어요.

특히 50대 이상 중장년층에서 흔히 발생하지만, 고도 근시나 전자기기 사용이 많은 젊은 층에서도 발생할 수 있으니 정기 검진이 중요합니다.

망막은 빛을 받아들이는 기관으로, 황반은 중심 시력을 담당하는 핵심 부위입니다.

망막앞막은 황반 표면에 얇은 섬유성 막이 생기는 질환으로, 막이 수축하면서 망막을 잡아당기고 찌그러뜨리게 됩니다.

이로 인해 글자가 겹쳐 보이거나 직선이 휘어지고, 사물 크기가 달라 보일 수 있어요.

초기에는 증상이 거의 없기 때문에 정기 검진을 통해 우연히 발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노화로 인한 퇴행성 변화가 주 원인이라 50대 이상은 1년에 한 번씩 정밀 검진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여성은 남성보다 조금 더 자주 발생하는데, 이는 여성의 평균 수명이 길고 폐경 후 호르몬 변화가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호르몬 변화는 혈액순환과 혈관 탄력에 영향을 주어 망막질환 발생률을 높일 수 있어요.

망막전막은 크게 특발성과 속발성으로 나뉘는데, 전자는 노화로 자연스럽게 생기며, 후자는 당뇨, 외상 등 다른 질환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수술로 유리체를 제거하고 막을 제거하는 치료가 필요하며, 시력은 수술 후 1~2개월부터 점차 좋아집니다.

적절한 시기 수술을 위해 정기 검진과 조기 치료가 중요하니, 가까운 안과에서 검진받으시길 권장합니다.



Average Ra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