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BTI는 매우 인기있는 도구이다. 오늘은 INTJ에 대해 알아보겠다. 인티제라고도 불린다.
전 세계의 2%로 매우 드물며, 여성의 비율은 0.8%로 매우 드물다. (대한민국은 1%) 이는 아주 이론적이다.
이 유형의 성격을 알기는 매우 어렵다. 학구열이 강하며, 특히 순수학문(자연과학, 철학)을 좋아한다.
이해와 규칙이 없이 무언가를 맹목적으로 따르는 것을 거부한다.
쉬운 일보다는 필요 이상으로 어려운 일을 즐긴다. 종종 스스로를 현실주의자로 착각하지만, 실제로는 사실성, 합리주의, 고증에 기반한 이상주의자일 가능성이 높다.
이론이나 과학에서는 극도의 현실주의를 추구하지만, 사회 현실에 대한 불합리성은 절대로 받아들이지 않는다.
MBTI 유형 중 IQ는 1위,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 평균은 ISTJ에 이은 2위다. 언어, 과학탐구는 약간 ISTJ보다 앞선다.
그러나, 수리, 영어, 사회탐구에서는 다소 뒤쳐져 2위다. MBTI 유형 중 평균적인 IQ가 INTP와 함께 가장 뛰어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정치 성향 면에서 보수주의 성향이 강하다.
이는 I, N, J를 공유하는 INFJ와는 정반대의 결과이다.
합리적인 울타리 내에서 공상하는 것을 즐긴다. 이성적으로 틀렸다고 판단되는 것은 사회적 결속을 무시하고 그것이 틀렸음을 분명히 하려고 한다.
어떤 상황이 바뀌어야 하는 합리적인 이유를 제시해준다면 계급, 신념, 전통까지도 기꺼이 버릴 사람이다.
흔히 규범적으로 주장되는 것에 합리적인 근거가 없으면 그것을 피하려고 한다.
어떤 사회적 관습에 대해 비웃을 수도 있다. 엄밀하지 못하거나 정리되지 않은 시스템을 해체하고 재구성하는 데 열중한다.
정작 가까운 사람들을 이해하려는 것에는 낯설고 불편해 한다.
모든 것에 대해 의문과 재평가가 열려 있어야 된다고 생각한다.
어려운 난관은 자극제가 되며, 창의성을 많이 요하는 도전에 응하는 것을 즐긴다.
하고자하는 의지가 강하다. 의미가 있는 일은 열성으로 한다. 사소한 본능적 행동에 ‘왜?’라는 질문을 들이대는 것을 싫어한다.
영화를 볼 때도 고증을 중시하며, 무언가 잘못된 장면이 없나 찾는다. 경멸하거나 다소 열성적으로 행동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