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동물병원 광주 동물보호소 정책과 운영 문제, 시민들이 알아야 할 점

image
image

최근 광주시 동물보호소와 관련된 여러 문제들이 제기되고 있어요. 시 직영으로 전환된 보호소를 방문한 경험을 바탕으로, 보호소 운영과 관련된 의문점들을 정리해봤습니다.

image
image

특히, 임시보호소인 민간 동물병원에 입소한 동물들이 입양된 후 자연사하거나 당일 입양되는 사례, 그리고 이에 지급된 비용 문제는 매우 의심스럽습니다. 예를 들어, 입소한 고양이와 강아지들이 자연사하거나 빠른 입양 후 비용이 지급된 사례들이 있는데, 이 과정이 투명하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우려가 됩니다.

image
image

또한, 광산구와 북구의 보호소 운영 차이, 그리고 보호소와 병원 간의 입양 절차와 비용 지급 방식에 대한 의문도 제기되고 있어요. 보호소 홈페이지에 표기된 입양 수와 실제 입양된 동물 수 차이, 그리고 보호소에서 다시 돌아간 동물들이 어떻게 처리되는지도 궁금증을 자아내고 있습니다.

image
image

이와 함께, 시가 새 보호소 건축에 많은 예산을 투입했음에도 불구하고, 민간 병원에 임시보호소를 지정하는 이유와, 입양 절차의 적절성에 대한 우려도 크네요. 특히, 입양 담당자가 공무원이 아닌 수의사와 직원들이라는 점이 신뢰를 떨어뜨리고 있습니다.

image
image

이 문제들이 투명하게 공개되고, 지역 주민들이 동물 보호 정책에 대해 제대로 알 수 있도록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지역 내 동물 보호와 입양 정책이 더 신뢰받을 수 있도록 관심과 감시가 필요하겠어요.

image
image
image

Average Rating

5 Star
0%
4 Star
0%
3 Star
0%
2 Star
0%
1 Star
0%

One thought on “[광주] 동물병원 광주 동물보호소 정책과 운영 문제, 시민들이 알아야 할 점

  1. 이 글은 광주시 동물보호 정책과 보호소 운영에 대한 의문과 문제점을 상세히 다루고 있어, 지역 주민들이 정책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입양 절차와 비용 지급 방식, 보호소와 병원 간의 역할 분담에 대해 관심을 갖고 지켜보는 것이 중요하겠어요. 지역 동물 보호 정책이 더 투명하고 신뢰받을 수 있도록 시민들의 관심과 감시가 필요합니다.

댓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